써모플랜 내돈내산 체온계 비교 후기: TH22 적외선 온도계 vs GC녹십자MS TS7 귀적외선 체온계

써모플랜 내돈내산 체온계 비교 후기: TH22 적외선 온도계 vs GC녹십자MS TS7 귀적외선 체온계
요즘같은 시대에 체온계는 선택이 아닌 필수품이죠? 특히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더욱 그렇고요. 저도 써모플랜에서 두 가지 체온계를 직접 구매하여 사용해 본 후기를 솔직하게 남겨보려고 합니다. 바로 TH22 국내산 비접촉 적외선 온도계와 GC녹십자MS 귀적외선 체온계 TS7이에요! 어떤 제품이 더 좋았을까요? 지금부터 자세히 알려드릴게요!
목차
TH22 국내산 비접촉 적외선 온도계: 편리함의 끝판왕?
먼저 TH22 적외선 온도계부터 살펴볼까요?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역시 비접촉식이라는 점이에요. 아이가 아플 때 억지로 귀에 체온계를 넣는 건 정말 힘든 일이잖아요. TH22는 그런 스트레스를 확 줄여주는 혁신적인 제품이라고 생각해요. 간편하게 이마에 대고 측정하면 끝! 정말 빠르고 쉽게 체온을 측정할 수 있어서 너무 편리했어요.
TH22 장점:
- 비접촉 측정: 아이에게 스트레스 없이 빠르게 체온 측정 가능해요.
- 빠른 측정 속도: 측정 시간이 짧아서 바쁜 아침에도 부담 없어요.
- 국내산 제품: 믿을 수 있는 국내 기술력으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어요.
- LCD 디스플레이: 숫자가 크고 선명하게 잘 보여서 좋았어요.
- 다양한 기능: 섭씨/화씨 전환, 자동꺼짐 기능 등 편의성을 높이는 기능들이 있어요.
TH22 단점:
- 정확도: 귀적외선 체온계에 비해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감안해야 해요. 실제로 몇 번 측정해 보니, 0.2~0.5도 정도의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었어요. 그래도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데는 크게 문제가 없을 정도의 오차라고 생각합니다.
- 배터리: 배터리 소모가 다소 빠른 편이에요. 자주 사용하시는 분들은 예비 배터리를 준비해두는 것이 좋아요.
GC녹십자MS 귀적외선 체온계 TS7: 정확성을 중시하는 분들을 위한 선택
다음은 GC녹십자MS 귀적외선 체온계 TS7입니다. 이 제품은 익숙한 귀에 꽂는 방식의 체온계인데요. TH22와 달리 접촉식이기 때문에 측정이 조금 번거로울 수 있지만,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어요. 특히 아기의 체온을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는 경우에는 귀적외선 체온계가 더 적합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.
TS7 장점:
- 높은 정확도: 비접촉식 체온계보다 정확도가 높아 신뢰할 수 있는 수치를 제공해요.
- 빠른 측정: 측정 시간이 짧아 편리해요.
- 다양한 기능: 발열 알림 기능, 메모리 기능 등 유용한 기능들이 많아요.
- 편리한 청소: 팁 커버를 교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해요.
TS7 단점:
- 접촉 방식: 아이가 싫어할 수 있고, 측정 과정이 다소 번거로울 수 있어요.
- 가격: 비접촉식 체온계보다 가격이 다소 높아요.
두 제품 비교: 어떤 체온계를 선택해야 할까요?
기능 | TH22 적외선 온도계 | TS7 귀적외선 체온계 |
---|---|---|
측정 방식 | 비접촉식 | 접촉식 (귀) |
정확도 | 보통 | 높음 |
측정 속도 | 빠름 | 빠름 |
편리성 | 매우 높음 | 보통 |
가격 | 저렴 | 비교적 고가 |
추천 대상 | 편리성을 중시하는 분,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 | 정확성을 중시하는 분, 영유아를 둔 가정 |
결론적으로, 아이가 협조적이지 않거나 빠른 측정이 중요하다면 TH22 적외선 온도계를, 정확한 측정이 필수적이거나 영유아 체온을 측정해야 한다면 TS7 귀적외선 체온계를 추천드려요. 두 제품 모두 장단점이 있으니, 자신의 상황과 필요에 맞춰 신중하게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. 저는 두 제품 모두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답니다! 써모플랜 제품 구매를 고려하고 계신 분들에게 이 후기가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요!
추가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점
- 체온계는 정기적으로 교정하는 것이 정확도 유지를 위해 중요해요. ( 써모플랜 서비스센터 문의 )
- 체온 측정 전후 손은 깨끗하게 씻는 것이 좋습니다.
- 다양한 상황(잠에서 깬 직후, 활동 후 등)에서 측정하여 평균값을 확인하는 것이 더욱 정확한 체온 측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목차
댓글